분류 전체보기12 오이디푸스 왕과 그리스 비극, 프로이트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왕과 그리스 비극의 형식 오이디푸스 왕이 비극의 형식에 미친 영향은 자명하다. 아이스킬로스의 경우 3부작 전체가 하나의 사건을 다루는 '내용 3부작'의 형식을 취하는데 반해, 소포클레스의 경우 거의 모든 3부작은 거기에 속하는 개별 드라마들이 하나의 독림된 작품으로 존재한다. 또한 오이디푸스 왕에서 소포클레스가 배우의 수를 2명에서 3명으로 늘린 것도 중요하다. 이는 인간이 주역인 드라마에서는 좀더 폭넓은 인간 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주인공의 성격과 의도와 행위를 조명할 필요를 느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프로이트 이론에 있어서 '성욕'이라고 하는 것은 특히 유아의 성적 경험의 중요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프로이트의 분석에 따르면 신경증이란 실행될 수 없어서.. 2021. 4. 21. 그리스 비극의 기원 그리스 비극의 기원 서양문학의 첫 시작이자 주류로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다. 서양 문학의 주류, mainstream은 비극이었다. 아리스토 텔레스의 "시학" 4장에서 보자면, "비극은 처음에 즉흥적인 것으로부터 발생했다. 희극도 마찬가지였다. 비극은 다튀람보스의 선창자로부터 유래했다... 그 뒤 비극은 그때까지 알려저 있던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계속해서 개량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많은 변화를 거쳐 본연의 형식을 갖추게 된 뒤에야 비로소 비극의 발전은 정지되었다. 배우의 수를 한 명에서 두 명으로 늘리기는 아이스킬로스가 처음인데, 그는 또한 코로스의 역할을 줄이고 대화가 드라마의 중심이 되게 했다. 소포클레스는 배우의 수를 세 명으로 늘리고 무대 배경을 도입했다. 비극은 이때 길이가 길어졌다. .. 2021. 4. 8. 플라톤과 그의 예술론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이나 여러가지 학문적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에는 몇가지 원인들이 있다. 그의 사유를 형성하는 원인으로는 히브리적 요소의 영향, 그리고 플라톤의 그리스에 대한 경험, 보이는 것에 대한 회의 등이 포한된다고 볼 수 있다. 우선 히브리적 요소의 영향 같은 경우는 유대 기독교적 사상에서 차용해 왔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히브리적 요소들이 플라톤의 사고와 닮아있다는 점에서 이를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플라톤의 그리스에서의 경험은 그가 사상을 완성하는데에 크게 기여했다. 완벽하다고 생각했던 그리스적 제도가 모순적이었고, 그러한 제도 속에서 자신의 스승이었던 소크라테스가 재판을 받게 되는 부정적인 경험이 그를 그리스 사상으로부터 멀어지게 한 것이다. 플라톤이 그리스 사상과 궤를 달리하며.. 2021. 4. 6.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오이디푸스 (부은발)은 버려진 오이디푸스를 발견한 목동이 발이 부은 것을 발견하고 지은 이름이다. 부은 발이라는 이름을 굳이 지은 이유는 무엇일까?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인간의 '발'은 어떤 의미일까? 발이 부어 절뚝거리는 오이디푸스는 그의 기구한 운명을 상징하는 것인지? 불완전한 인간의 운명을 암시하는 것인지? 진실이 밝혀지고 이오카스테 왕비가 자살하자 눈을 찌르는 오이디푸스는 그토록 운명에 맞서 싸우고자 했던 것들이 무의미한 시도라는 것을 말하는 것인지? 그렇다면 결국 오이디푸스를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 > 인간은 운명이 결정 지어진 불완전한 존재이며 운명의 힘을 거스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이디푸스로 대표되는 인간은 '영웅'이며 '고귀한 영혼'이 된다. 잔혹한 진실임에.. 2021. 4.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